전체메뉴


mir dental hospital Oral medicine

구강안면통증

턱관절은 우리 얼굴뼈의 상악과 하악이 만나는 부분이고, 입을 벌리고 다물 때
​​​​​​​​​​​​​​움직임의 축을 이루는 부위입니다.



악안면 부위의 만성통증

이미지 위젯

만성 통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는 적절한 약물요법과 함께 심리적 치료를 병행할 필요가 있으며,
환자로 하여금 자신의 통증을 극복할 수 있는 용기와 삶에 대한 긍적적 사고를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강안면통증이란?

구강안면통증은 악관절(턱관절), 악골(턱), 안면(얼굴), 입안(혀나 뺨), 머리, 목과 어깨 등의 악안면 부위에 만성통증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만성통증이란 그 자체가 하나의 질병이라고
할 수 있는데 확실한 원인도 없이,
잘 치료가 되지 않으면서 수개월에서 수 년간씩 계속되는
통증을 말합니다.

입과 얼굴은 신경분포가 조밀하고 심리적으로 예민한 부위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통증성 질환의 주된 표적이 됩니다. 이러한 통증은
대부분 신경 병변성 통증의 특징을 나타내고 만성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진통제의 복용과 같은 통상적인 치료법으로는  잘 치료가 되지 않습니다.

신경병변성 통증

신경손상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통증을 말하며, 악안면 부위에서의 신경손상은 치과 진료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사랑니 발치, 하악신경 전달 마취, 임플란트 수술, 치아 신경치료 이후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간혹 바이러스 감염, 방사선 치료, 골절, 악성종양의 전이에 의해서도 발생 가능합니다.

증상 및 치료방법
 

  • 통증과 함께 화끈거림, 타는 듯한 느낌, 찌릿한 느낌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감각신경의 손상이 있다면 감각이 둔해지거나, 마취된 듯 얼얼한 느낌이 지속될 수도 있고 이상감각, 통증과 같이 감각이 비정상적으로 예민해지기도 합니다.
  • 신경손상은 회복이 매우 느리며 때로는 영구적인 장애를 남기게 되기도 합니다. 신경 손상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조기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 사용하는 약제는 신경 손상 초기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제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항우울제와 항경련제를 사용하게 됩니다. 

삼차신경통

아침에 세수를 하거나 잇솔질을 하거나 음식을 먹으려고 할 때 얼굴이나 입안에서 갑자기 전기가 통하는 것과 같은 충격적인 통증이 발생해서 꼼짝도 못하게 되고,
그 순간이 지나면 통증이 곧 사라지지만 얼굴이나 입안의 어느 부위를 건드리면 또 다시 전기가 통하는 듯한 통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삼차신경통의 특징입니다.
환자의 대부분은 50세 이상입니다.

증상 및 치료방법
​​​​​​​

  • 통증은 얼굴이나 턱의 좌우측 중에서 어느 한 쪽 편에서만 나타납니다.
  • 50대 이후에 주로 발생하며 여자에서 더 흔합니다.
  • 얼굴을 만지거나, 면도, 대화, 칫솔질, 찬 바람을 쐬는 등 일상적인 자극이 있을 때 갑자기 전기 쇼크처럼 격렬하게 발작적으로 통증이 생깁니다. 
  • 항경련제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외 약제를 단독으로 혹은 복합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 약물은 장기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부작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정기적인 혈액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약물치료가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

구강작열감증후군은 특별한 원인없이 혀나 구강의 점막부위에서 작열감이나 통증을 느끼는 것을 말하는데 주로 폐경기 이후의 여성들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잘 모르고 있으며, 단지 호르몬의 변화나 심리적 요인, 그리고 미각신경의 퇴행성 변화 등이 관계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증상 및 치료방법​​​​​​​

  • 화끈거리거나 따가운 통증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 주로 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입천장, 잇몸, 목구멍 등 모든 구강점막 부위에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자극적인 음식을 먹을 때 증상이 심해질 수 있어 음식 섭취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일부 환자들은 구강건조감, 미각 변화와 같은 감각이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 구강작열감은 원인이 너무도 다양하고 때로는 추정할만한 원인이 불명확하기도 합니다. 우선 의심되는 원인부터 치료를 시작합니다. 
  • 당뇨나 영양장애 등 전신질환이 있다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칸디다증이 의심되면 항진균제를 투여해야 하며, 침이 적게 나오는 경우에는 인공타액을 상용해야 합니다.
  • 신경의 문제로 간주될 경우, 약물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긴장성두통

긴장성 두통은 두통 중에서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서 머리가 조여들거나 무겁거나 욱신거리는 느낌으로 나타납니다.
주로 목과 두피의 근육 긴장으로 인해 발생하며, 잘못된 자세, 장시간 앉아 있기, 컴퓨터 작업 등으로 인해
​​​​​​​근육에 지속적인 긴장이 가해질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 및 치료방법​​​​​​​

  • 머리 양측에 나타나는 둔하고 지속적인 통증으로, 머리에 띠를 두른 듯한 압박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 목, 어깨 근육에도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증상은 몇 시간에서 며칠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 
  • 긴장성 두통은 일반적으로 진통제에 잘 반응합니다.
  • 만성적인 경우에는 항우울제 등의 예방적 약물 치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스트레스 관리, 이완 요법, 자세 교정 등 비약물적 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상담 신청&오시는 길

위로아래로

빠른상담

정보를 입력하시면 상담원이 전화로 친절하게 상담해드립니다.

054.277.2800
빠른 상담

온라인 상담

상담 가능 시간 : 09:30 ~ 18:00 (토요일 : 16:00)

054.277.2800

카카오톡 상담

정보를 입력하시면 상담원이 빠르게 연락을 드리겠습니다.

플러스 친구 : @플러스친구 아이디
카카오톡 상담

진료안내 / 오시는 길

진료를 잘하는 미르치과에서 꼼꼼하게 진료받으세요.

약도 문자전송
  • 월~금 : 09:30 ~ 18:00
  • 야간진료 : 18:00 ~ 20:00
  • 토요일 : 09:30 ~ 16:00
  • 점심시간 : 13:00 ~ 14:00

※ 교정과 야간진료(월·화) : 9:30 ~ 21:00
※ 일요일 및 공휴일 휴진

<성인진료> 경북 포항시 북구 포스코대로 288 포항미르치과병원(하나은행 건물 5층~9층)
<소아청소년 및 교정진료> 경북 포항시 북구 중흥로 171 포항미르치과병원(국민은행 건물 8층~9층)

카카오톡 상담

?>

닫기